728x90
문장의 구성 요소:
- 단어, 어절, 구, 절
- 단어: 의미를 가지는 최소의 자립 형식
- 어절: 문장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단위. 띄어쓰기 단위와 일치한다.
- 구: 두 개 이상의 어절이 모여 하나의 단어와 동등한 기능을 하는 단위. 예) 새 놀이터
- 절: 두 개 이상의 어절이 모여 주어와 서술어 관계를 갖는 것. 예) 목이 터지게, 키가 크다
한국어의 기본 문형
- 주어 + 서술어: 친구가 웃는다./장미가 아름답다.
- 주어 + 부사어 + 서술어: 친구가 활짝 웃는다./장미가 매우 아름답다/친구들은 집에 돌아갔다.
- 주어 + 보어 + 서술어: 친구는 과장이 되었다./번데기는 나비가 되었다.
- 주어 + 목적어 + 서술어: 나는 컴퓨터를 켰다.
- 주어 + 목적어 + 부사어 + 서술어: 나는 청귤차를 엄마에게 드렸다.
문장의 성분:
- 주어, 목적어, 서술어, 보어, 부사어, 관형어, 독립어
절의 구성:
- 명사절, 관형절, 부사절, 서술절, 인용절,
728x90
'국어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문장 성분을 파헤쳐 보자! (0) | 2023.06.25 |
---|---|
문장의 구조를 보는 두 가지 관점: 주어 VS. 주제어 (0) | 2023.06.25 |
한국어의 9품사 (0) | 2023.06.05 |
단어 VS. 어휘 (0) | 2023.06.05 |
한국어의 특징: 형태론적 접근 (0) | 2023.05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