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높임 표현이란?
말하는 사람이 어떤 대상에 대하여 그 높고 낮은 정도를 언어적으로 나타낸 것.
- 주체 높임
주체 높임은 문장의 주체, 곧 주어를 높이는 것으로 선어말 어미 '-(으)시-'가 필수적으로 쓰인다.
예) 할아버지, 아버지가 아직 안 오셨습니다./선생님, 비오는데 우산 있으세요? --> 소유물 간접 높임
- 객체 높임
객체 높임은 문장의 객체, 곧 목적어나 부사어를 높이는 것이다. 주로 특수 어휘에 의해 표현된다.
예) (나는)아버지를 모시고 레스토랑에 갔다./오늘 종례가 있는지 없는지 선생님께 여쭈어보자.
- 상대 높임
상대 높임은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는 것이다. 상대 높임은 종결 어미로 실현된다.
평서문 | 의문문 | 명령문 | 청유문 | 감탄문 | |
하십시오체 (격식-아주높임) |
잡습니다, 갑니다 |
잡습니까?, 갑니까? |
잡으십시오, 가십시오 |
X | X |
좋습니다, 예쁩니다 |
좋습니까?, 예쁩니까? |
X | X | X | |
하오체 (격식-예사높임) |
잡소/잡으오, 가오 |
잡소?/잡으오?, 가오? |
잡소/잡으오, 가오 |
(함께) 잡읍시다, 갑시다 |
가는구려 |
좋소, 예쁘오 |
좋소?, 예쁘오? |
X | X | 예쁘구려 | |
하게체 (격식-예사낮춤) |
잡네, 가네 | 잡나?, 가는가? |
잡게, 가게 |
(함께) 잡으세, 가세 |
가는구먼 |
좋네/좋으이, 예쁘네/ 얘쁘이 |
좋은가?, 예쁜가? |
X | X | 예쁘구먼 | |
해라체 (격식-아주낮춤) |
잡는다, 간다 |
잡느냐?/ 잡니?, 가느냐?/가니 |
잡아라, 가라 | (함께) 잡자, 가자 | 가는구나 |
좋다, 예쁘다 |
좋으냐?/ 좋으니?. 예쁘냐?/ 예쁘니? |
X | X | 예쁘구나 | |
해요체 (비격식-두루높임) |
잡아요, 가요 |
잡아요?, 가요? |
잡아요, 가요 |
(함께) 잡아요, 가요 |
가(세/셔)요 |
좋아요, 예뻐요 |
좋아요?, 예뻐요? |
X | X | 예쁘(세/셔)요 | |
해체/반말체 (비격식-두루낮춤) |
잡아, 가 | 잡아?, 가? | 갑아, 가 | (함께) 잡아, 가 | 가, 가자 |
좋아, 예뻐 | 좋아?, 예뻐? | X | X | 좋아, 예뻐 |
※참고 문헌: 「한국어 문법 총론Ⅰ」
728x90
'국어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피동과 사동 (0) | 2023.06.28 |
---|---|
한국어의 문장 유형과 화행 (0) | 2023.06.27 |
홑문장과 겹문장 (0) | 2023.06.27 |
'이다'의 문법적 정체? (0) | 2023.06.26 |
문장 성분을 파헤쳐 보자! (0) | 2023.06.25 |